본문 바로가기

사례와 해설

경매로 낙찰받은 건물이 불법증축 건물이라면?




불법증축


불법증축이란 구청, 시청 허가 없이 임의로 건물변형 또는 규제 초과 건설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만약 경매를 통해 건물을 낙찰받아 구입하였는데 해당 건물이 불법증축된 건물이었다면 참 황당하겠죠? 오늘은 이와 관련된 사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건 개요


A씨는 부동산 경매 컨설팅 B회사의 조언으로 다가구주택 낙찰


해당 건물의 경우 불법증축을 통해 확장공사를 했다는 이력을 B회사가 알리지 않음


건물을 구입한 뒤 관활 시청이 불법 증축에 해당하는 부분을 철거


A씨 B회사를 상대로 건물 정보를 제대로 알려주지 않았다는 이유로 손해배상소송 제기


해당 사건 재판부는 B회사가 A씨에게 불법증축 부분이 철거될 수 있다는 사실 설명을 빠뜨린 점을 인정하여 손해액의 70%를 배상하라는 원고일부승소 판결을 내렸습니다.





판단 해석


재판부는 B회사의 설명 누락 부분을 인정하나 A씨의 경우 건축물대장, 감정평가서 등 확인 및 검토 의무를 다하지 않았기 때문에 손해해액의 30%는 A씨에게 책임이 있다고 보았습니다. 이에 따라 손해액의 30%는 A씨가 부담하고, 70%는 B회사가 지급하라는 선고를 내린 사례입니다.






구입한 건물에 관련한 소송은 이해관계와 사실관계가 복잡하기 때문에 보다 많은 경험을 지니고 승소경험이 많은 전문 변호사를 선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불법증축 관련 건물 확인 및 검증이 필요하거나 소송을 진행하시는 경우 태일부동산전문센터 김성훈 변호사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