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례와 해설

세금체납자 배우자에게 전재산 증여 후 이혼했다면 사해행위에 해당할까?





사해행위취소소송

채권자의 권리를 해할 것을 알면서도 재산을 숨기거나 은닉하는 채무자의 행위는 사해행위에 해당됩니다. 채권자는 사해해행위취소소송을 통해 채무자의 재산을 원상복구하여 강제집행할 수 있는데요. 오늘은 세금체납자가 배우자와 이혼 시 재산을 증여한 행위로 인해 발생한 분쟁사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건경위

A씨 사업을 운영하며 발생하는 부가세, 종합소득세, 법인세 장기 미납


A씨는 배우자 B씨와 이혼하면서 재산분할 및 위자료 명목으로 본인 소유 아파트 증여


관할 세무서 A씨 행위는 사해행위에 해당한다며 사해행위취소소송 제기


1심 및 2심 재판부는 A씨 행위를 사해행위로 판단하여 원고승소판결을 내렸으나 대법원 재판부원고일부승소 취지로 사건을 파기환송하였습니다.





판단해석

1심과 2심 재판부는 A씨 행위를 사해행위로 판단, 국가에 지급해야 할 금액은 아파트 증여 당시 시가를 기준으로 산정해야 한다고 판시하였습니다.


대법원 재판부는 원심이 정한 반환금액 산정에 대하여 A씨가 국가에 지급해야 할 금액 산정은 증여계약 당시 아파트 시가가 아닌 사실심 변론종결 당시 시가를 기준으로 사해행위취소 범위를 정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원심을 파기하고 원고일부승소 취지로 사건을 돌려보냈습니다.







이번 사례는 사해행위취소소송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사해행위를 당하거나 사해행위취소소송 피고가 된 경우 잘못된 법리 해석으로 큰 손실을 볼 수 있기에개인적으로 대응하는 것은 매우 위험할 수 있습니다. 반드시 사전에 관련법 지식과 승소경력을 갖춘 전문변호사와의 상담을 통해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입니다. 관련 소송에 휘말리셨다면 신속히 태일부동산전문센터 김성훈 변호사에게 연락하여 도움을 받으시기 바랍니다.